알기 쉬운 사회복지 프로그램 성과평가 매뉴얼
목차
i. 성과평가의 개념 및 필요성 1
1. 성과평가의 개념 및 정의 1
2. 성과평가의 필요성 1
n. 매뉴얼의 용어 설명 2
1. 용어의 정의 2
1) 용어의 세부 정의 2
2. 사레를 통한 용어 해설 4
1) 프로그램 목표 4
2) 평가(evaluation) 및 성과측정(outcome measurement) 5
3) 영힘timpact) 6
I. 성과평가 단게 7
1. 성과평가 전체 과정 개요 7
2. 성과측정의 7단계별 세부 내용 8
[1 단게] 성과측정을 위한 준비 단계 8
Task 1 : 어떠한 프로그램을 실시할 것인지 결정하기 8
Task 2 : 성과측정을 위한 팀을 구성하고 교육하기 8
Task 3 : 일정표(timeline) 개발 9
Task 4 : 성과측정을 위한 일정을 주요 이해당사자(key players)들에게 배포하기 10
[2 단게] 측정할 성과(cjutcome) 선택 10
Task 1 : 다양한 소스로부터 프로그램 성과에 대한 아이디어 수집하기 11
Task 2 : 프로그램을 위한 로직 모델을 구성하기 12
Task 3 : 주요한 성과를 선택하기 17
Task 4 : 로직모델과 성과목표에 대한 피드백 18
[3 단게] 성과 측정을 위한 지표 구체화하기 18
Task 1 : 각 성과에 대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지표를 구체화하기 18
Task 2 : 참여자의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결정할 것 22
[4 단게] 성과지표에 이용될 자료수집 게획 23
Taskl : 성과지표를 위한 자료원(源) 확인하기 23
Task2 : 데이터 수집 방법을 디자인할 것 23
15 단게] 성과측정·성과측정 자료수집 29
Task 1 : 성과측정 특성에 맞는 유형 결정 29
1) 수량집게(수로 게산하는 것, 수량화하는 것)의 개념 30
2) 표준화된 척도 32
3) 기능수준척도(Level of functioning scales) 40
4) 만족도 조사 43
6) 성과를 보이는 질적 자료 : 면접조사, 관찰, 기록, 영상 등 46
[6 단계] 측정결과의 분석과 보고 50
Taskl : 자료수집 특성에 따른 분석방법을 결정하기 50
1) 양적 자료 분석 50
2) 질적 자료 분석 51
Task2 : 분석된 결과를 보고하기 53
1) 결과보고를 위한 측정결과 요약표 작성 53
2) 성과측정 결과 보고서 작성 54
[7 단게] 성과측정 결^^ 이용 5?
1) 조직 외적 측면 60
2) 조직 내적 측면 61
<참고 문헌> 62
경기복지재단 사회복지현장 운영지원 매뉴얼
알기 쉬운 사회복지 프로그램 성과평가 매뉴얼(가이드라인)
(첨부파일은 아래 링크 클릭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관련글 :